소셜네트워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더 흥행하지 못해서 아쉬웠던 영화들: 사적인 목록을 고르자면 말이에요 최근의 영화 흥행 통계들을 지켜봐 오신 분들이라면 알겠지만, 요즘 박스오피스는 숫자를 살펴보는 게 거의 의미가 없을 만큼 나날이 저조한 시간들의 연속이다. 특히 지난 주말(1/8(금)~1/10(일))은 10만 명도 채 되지 않는 관객 수를 나타내며 코로나 19가 본격화된 이후 가장 저조한 통계를 보였다. 1위인 (2020)는 3주 연속 주말 1위를 지키기는 했으나 간신히 누적 관객 수 50만 명을 넘어서며 힘겹게 기록을 쌓는 중. * 리뷰 '진실함을 믿는 한 여전히 우리는 영웅이 될 수 있다고': (링크) 코로나 19 상황이 호전되어 관객들이 다시 극장으로 걸음 하기 시작하지 않는 한, 1월 20일 개봉을 앞둔 픽사 애니메이션 신작 (2020) 역시 흥행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다. (은 이미 2020년 .. 더보기 [1인분 영화] - '소셜 네트워크' - 어떤 의미에서든, 혁명 (2020.01.15.) 이메일 영화리뷰&에세이 연재 [1인분 영화] 일곱 번째 글은 '어떤 의미에서든, 혁명'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0)에 관해 썼다. 데이빗 핀처 감독의 영화 (2010)에 대해 먼저 떠오르는 건 'You don't get to 500 million friends without making a few enemies'라는 영문 포스터 문구와 '5억 명의 온라인 친구 / 전 세계 최연소 억만장자 / 하버드 천재가 창조한 / 소셜 네트워크 혁명!'이라는 국내 포스터 문구가 얼마나 대조적인가 하는 것이다. 창조와 혁명이라는 키워드가 강조된 후자와 달리 전자는 비록 5억 명의 친구를 만들 수 있다고 해도 거기에는 '소수라 할지라도 적을 만들게 될 수밖에 없다'라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이 더 중요한 문장이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