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넷플릭스

영화 '이웃집 토토로'(1988) 기상청 5월호 원고를 쓰려고 고른 작품은 인생에도 방학이 필요하다는 걸 알려주는 듯한 미야자키 하야오의 초기작 (1988). 사츠키(サツキ)와 메이(メイ)는 새 집과 마을 주변을 누비여 마치 '어린 시절에만 나타나는 요정'과도 같은 그 무엇들을 보고 어른들은 주로 아이들의 이야기를 시시하지 않게 듣는다. 어머니가 아프다든지 집을 지킨다든지 혹은 터널과도 같은 공간을 지나 어떤 숲을 발견한다든지 하는 설정은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이 아니더라도 크게 새로울 것 없지만, 바로 전작인 (1986)나 대부분의 하야오 작품과 비교한다면 이 마을은 작고 소박한 공간이다. 그렇지만 이웃 할머니의 밭에는 옥수수며 오이, 토마토 등 없는 게 없고 아이들의 텃발에도 싹이 난다. 비가 오면 제 우산을 내어주는 소년이 있고, 아.. 더보기
영화 '마에스트로 번스타인'(2023) 감독 브래들리 쿠퍼의 취향과 배우 브래들리 쿠퍼의 수완이 골고루 돋보이는 영화. (2023)이 조명하는 건 지휘자, 작곡가, 뮤지션으로서 번스타인의 위상이 아니라 그가 살아온 개인사의 그림자다. 좀 더 정확히는 이 이야기는 레너드 번스타인 본인보다 아내인 펠리시아 몬테알레그레의 곁에 (캐리 멀리건이 크레디트의 첫 번째 이름으로 등장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 머물기도 한다. 일생에서 자신이 혼신을 다한 분야에 어떤 족적을 남기는 것도 주요하지만, 우리에게 더 중요한 건 말년의 펠리시아가 딸에게 말하듯 타인에게 친절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것, 사랑에 책임을 다하는 것. 인생은 불완전하고 우리는 삶의 모든 것을 완벽히 지휘하고 통제할 수는 없다. 거장으로 불리는 이에게 드리운 빛과 그림자를 은 흑백과 컬러를 오.. 더보기
영화 '치코와 리타'(2010) 문화적, 정치적, 인종적인 세부를 토대 삼아 '치코'와 '리타'의 이야기는 "원하는 것은 모두 과거에 둔" 이들이 막연히 지난 추억에 대한 희구만을 간직한 채로 어떻게 오랜 세월을 흘려보낼 수 있는지 들려준다. 그건 대체로 오해와 엇갈림으로 빚어지기 일쑤지만 문득 "다시 키스하고 싶었어"라며 거울에 쓰인 채 하룻밤의 재회에 그치기도 한다. (2010)는 그러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그리고 가수를 주인공 삼은 영화답게 결정적인 순간에 노래로 말을 아끼거나 대신하기도 하며, 마치 이것이 스페인 애니메이션이 맞다고 말하듯 애니메이터의 손길보다 회화를 직접 그리고 움직여낸 것처럼 특색 있는 방법으로 짧은 러닝타임에도 긴 여운을 남긴다. ⠀ #동진영화 #치코와리타 #애니메이션 #ChicoandRita #쿠바 #.. 더보기
넷플릭스 시리즈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2023) (...) 제목에서 이미 알 수 있는 것처럼,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에서 더 중요한 것은 키요가 요리에 대한 재능과 흥미를 발견해 나가는 과정, 스미레가 무용 실력과 재능을 인정받는 과정, 그리고 아오모리에서 교토에 함께 온 두 사람의 우정 자체다. 키요와 스미레를 주인공으로 하되 작중 중점적으로 다뤄지는 건 주어진 환경과 타인으로부터의 영향 속에서 재능을 어떻게 발견하거나 키워나갈 것인가 하는 데에 있다. 예를 들면 츠루코마는 스미레가 날마다 새벽에 안무 연습을 하는 모습 등을 보면서 자신이 마이코가 되기 적합한지의 기로에 서고, 스미레의 아버지는 그에 앞서 스미레에게 "억지로 최고가 되기 위해 너무 무리하지는 말라"고도 이야기 한다. 나아가 원작에 없는 요시노와 같은 캐릭터를 통해 '전통예술을 계승.. 더보기
영화 '로맨틱 홀리데이'(2006) 영화의 어떤 장면에 이르러, 눈 쌓인 길을 조금 걷는 것도 싫어하던 아만다는 다가온 사랑을 지켜내기 위해 차에서 내려 수백 미터를 (넘어지지도 않고) 달린다. 침대 위 이불과 거의 한 몸이 되거나 벽난로 앞에서 꼼짝도 하지 않게 되기 쉬운 한겨울의 날씨는 그 자체로 모두를 위축되게 만드는 건 아니다. 상처와 두려움 속에 갇히지 않고 스스로의 마음가짐을 달리 할 줄 알거나, 낯설고 우연한 만남 속에서도 그것이 어떤 운명적인 여정이 될 것임을 직감하는 사람에게 겨울은 혹독하지 않다. (2022.12.10.) ⠀ 이 무렵에 다시 본 낸시 마이어스의 (2006). 3년 전에는 아래와 같이 썼다. ⠀ 작중 원로 시나리오 작가 아서 에봇의 말을 조금 빌리면 (23006)는 “여행은 자신을 이야기의 주연이 되도록 만.. 더보기
넷플릭스 영화 '모럴 센스'(2022) 여러 가지의 이유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일은 쉽지 않은 난이도를 요구하고 많은 장벽에 부딪히게 되는데, 그럴 때마다 한 사람과 다른 한 사람이 서로 '우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해 상기한다. 비록 관계에 있어서 완전히 대등하거나 평등한 것, 은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해도 그것을 건전하게 지속 가능한 것으로 이끄는 힘은 용기를 내는 마음에 그치지 않고 존중하는 자세에서 비롯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100여 년이 다 된 로맨스 장르 계보에, 여전히 새로운 영역이 남아 있다는 걸 (2022)는 소재 자체가 담을 수 있는 자극성에 골몰하지 않고 차이, 다양성, 존중, 배려와 같은 키워드로 풀어낼 수 있는 대중적인 스토리텔링에 충실하면서 보여준다. 더보기
넷플릭스 영화 '돈 룩 업'(2021) 작중 '민디'(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제니퍼 로렌스)의 대화 중 인용되는 말처럼 "잃는 것도 있어야 얻는 것도 있다지만 우리가 잃는 것은 시간뿐이기를"(The Mills Brothers, 'Till Then') 바라지만 우리가 잃는 것은 시간만은 아니어서 어떤 판단과 결정은 삶과 터전 자체를 앗아가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 일상에서 진정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를 되새기게 하는 마지막 장면과 달리 (2021)은 그것들이 지켜질 수 있다고 낙관할 생각이 없다. 인류의 행복이 공동의 선의와 노력, 희생으로 지켜질 수 있다고 믿는 영화와 믿지 않는 영화로 나눌 수 있다면 은 당연히 전자인데, 그 소재와 배경만 다를 뿐 애덤 맥케이 감독 영화는 항상 이런 식이었다. ⠀ 정치, 경제, 언론 등 현대 사회의.. 더보기
넷플릭스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2022) https://brunch.co.kr/@cosmos-j/1380 일상의 학교가 지옥보다 끔찍한 곳이 된다면 넷플릭스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2022) 리뷰 | 역사적으로 '좀비'는 항상 폭력이나 전염병 등 사회문화적 화두와 그 흐름을 같이 했다. 국내 미디어에서 흥행성을 인정받기도 전인 2009년부터 brunch.co.kr 역사적으로 '좀비'는 항상 폭력이나 전염병 등 사회문화적 화두와 그 흐름을 같이 했다. 국내 미디어에서 흥행성을 인정받기도 전인 2009년부터 연재된 원작에 작중 인물들이 좀비에 대해 전혀 생소하지는 않다는 설정((2016) 등)이 추가됐다. (제작 논의는 이미 7년 전부터 시작됐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학교는](2022)에게서 짐작할 수 있는 것은, 각종 도구와 맨몸으로 좀.. 더보기
넷플릭스, 고요의 바다, 콘텐츠, 창작자, 기획 지금이야 여러 이유로 다 철수했지만 (2016, 폭스)이나 (2016, 워너)처럼 할리우드 직배사의 한국영화 제작, 투자, 배급이 활발했던 시기가 있었다. 부분적으로 투자했던 건 (2009, 유니버설), (2010, 폭스) 같은 경우가 있고 본격적으로 로컬 프로덕션이 생겨난 건 (2013, 폭스), (2014, 폭스)부터였다. 이 흐름은 워너브러더스가 배급한 (2020)가 마지막이다. ⠀ 당시의 흐름은 콘텐츠 기획과 제작의 다양성 면에서 긍정적이라 생각했는데, 최근에는 이것을 넷플릭스가 하고 있다. 그러니까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을 기획들. 온전히 창작자에게 자유를 보장해주는 것은 많은 경우 콘텐츠의 다양성과 질적 완성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 근래의 예를 들자면 (2021) 같은 작품이 계속해서 만.. 더보기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2021) 1화(‘무궁화 꽃이 피던 날’)부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참가자를 대거 탈락시키고, 어떤 이유로 인해 게임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과정을 보면 소위 ‘데스 게임’이라는 장르 자체에는 중대한 관심을 두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이는 면이 있다. 그러니까 [오징어 게임](2021)은 참가자들에게 지급되는 삶은 계란과 사이다, 혹은 양은 도시락이나 구슬치기처럼, ‘기훈’(이정재) 세대와 그 전후 세대가 가지고 있을 법한 향수를 자아내는 데 주력하면서 막다른 곳에 내몰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사연과 변화에 시선을 둔다. 후반으로 갈수록 게임 자체의 오락성에만 골몰하지 않고 드라마적 요소에 공을 들이는데, 결국 이 분야의 작품이 주는 긴장감이나 오락성도 상당 부분은 캐릭터를 얼마나 잘 만들었는가 하는 데에서 나오니 그..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