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영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두 사람의 달리기는 어떻게 한 사람의 차지가 되는가: 한가람 감독의 영화 '아워 바디'(2018)를 다시 보다 *영화 (2018)의 스포일러가 많이 있습니다. 브런치에 쓴 글 중 일부를 옮겨둡니다. 전문은 아래 브런치 링크를 따라가시면 됩니다. (...)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몸’을 탐구한다면 ‘자영’이 다른 이들의 몸을 바라보는 건 자신과의 비교 때문일 것이다. 동생 ‘화영’에게 교복 치마가 야하다고 농담처럼 말하는 것도 자신보다 날씬한 ‘화영’의 하체가 치마가 짧아서 잘 드러나기 때문이고, (이후 살이 빠진 것 같다는 소리를 듣지만 ‘자영’은 정작 자신의 청바지를 입지 못한다) 첫 만남부터 ‘현주’의 얼굴보다도 몸 이곳저곳을 살피는 것도 달리는 사람의 몸은 달리지 않는 자신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는 행위로 읽힌다. 캔 맥주를 사들고 터덜터덜 계단을 오르다 중간에 멈춰 앉은 자신과, 아래로 떨어지던 캔 맥주를 .. 더보기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여성 영화: 영화 '미스비헤이비어'(2020) 리뷰 (...) 1970년대 실화인 가 2020년대에 유효한 이유 미인대회 하면 무엇을 떠올리겠는가. 수영복만 입은 여성들은 앞뒤와 좌우로 훑으며 그들의 신체 부위 사이즈를 전자 제품의 스펙처럼 계량화 하고, 그들의 몸을 '평가'하는 대회. 좋은 심사를 받기 위해 환한 미소를 지어 보이는 여성 참가자들을 상품처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 놀랍게도 1970년 미스 월드 대회는 달 착륙이나 월드컵보다도 더 많은 사람들이 생중계로 지켜봤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미스 월드 대회의 주최 측은 사업적 수완을 발휘해 이를 패밀리 엔터테인먼트로 적극 포장했다. 물론 50여 년이 흐르는 동안 여성의 사회적 권리에 있어서도, 여성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식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참정권 등 여성이 남성.. 더보기 10월 17일 영화의 일기 - 82년생 김지영 무궁화호 기차 안에서 조남주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영화 개봉을 앞두고 다시 꺼내 읽었다. 오늘의 문장. "할머니의 억양과 눈빛, 고개의 각도와 어깨의 높이, 내쉬고 들이쉬는 숨까지 모두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메시지를 한 문장으로 말하기는 힘들지만 그래도 최대한 표현하자면, '감히' 귀한 내 손자 것에 욕심을 내? 하는 느낌이었다. 남동생과 남동생의 몫은 소중하고 귀해서 아무나 함부로 손대서는 안 되고, 김지영 씨는 그 '아무'보다도 못한 존재인 듯했다. 언니도 비슷한 기분이었을 것이다." 소설 속 김지영 씨가 겪는 일들, 여성이어서 경험할 수밖에 없는 그 현실에는 수십 년, 혹은 더 오랜 기간을 뿌리 내려왔을 역사가 있다. 위의 이야기는 남아선호 사상에 바탕을 두지만, 김지영 씨가 경험하거나 전해 듣..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