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어폰어타임인할리우드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제 이야기가 아니어도 감정은 진짜일 수 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2019)의 어떤 순간들 1. 촬영 중 휴식 시간, 릭 달튼은 같은 영화에 출연해 마라벨라 랜서 역을 맡은 아역 배우 트루디 프레이저와 대화를 나눈다. 트루디는 촬영장에서는 본명이 아닌 배역명(미라벨라)을 쓴다며 자신의 연기론을 늘어놓던 중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추구하는 것 자체가 의미 있는 거예요"라고 말한다. 그건 연기만이 아니라 영화 자체를 향하는 말이기도 하며, 스판 농장에 사는 히피족 중 한 명이 가볍게 내뱉는 "배우들은 다 가짜"라는 말과 정면으로 대치된다. 2. 샤론 테이트가 극장에 가서 자신이 조연으로 출연한 (1969)를 본다. 관객들 틈에 섞여 샤론은 관객들의 리액션 하나하나에 미소 지으며 스크린 속으로, 그리고 상영관 안의 그 순간으로 빠져든다. 영사실에서 스크린을 향해 쏟아지는 불빛들, 관객의 웃음소리, 커.. 더보기 애가와 찬가로 가득한, 가장 사적인 타란티노 영화: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2019)를 보며 (2019)야말로 쿠엔틴 타란티노가 처음부터 만들고 싶어 했던 종류의 영화인지도 모른다. 마치 마틴 스코세이지의 (2011)나 알폰소 쿠아론의 (2018)가 그들 각자에게 지닌 의미를 생각하듯이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2019)'를 생각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건 영화와 시간 사이의 관계 때문이다. 걸어 다니는 영화 사전이 되어가면서 청년기를 보낸 그는 늘 자기가 만들고 싶은 영화를 본인의 방식으로 만들어내며 머릿속에 있는 꿈과 취향을 살아 움직이는 것으로 내보였다. 예산과 구조와 대상이 달라져도 그것만큼은 변하지 않았다. 그건 결코 가상과 현실을 혼동하거나 경계를 억지로 허무는 방식으로서가 아니라 '지금 보고 있는 것은 현실이 아니라 영화'임을 한시도 쉬지 않고 일깨우는 방식으로서만 기능했다. 자신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