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 썸네일형 리스트형 [1인분 영화] ‘코코’ – 너무 신격화된 우상(하) (2020.12.07.) (...) ‘기억’이라는 테마는 동어반복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가지 의미로 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가령 ‘이멜다’는 남편 ‘헥터’와의 어떤 일로 인해 자신이 좋아했던 노래를 더 이상 하지 않고 삶을 살아왔지만 노래를 완전히 잊은 것은 아니었어요. 기억 속에서 지워진 게 아니라 다른 감정들과 이유들로 그것을 외면하고 있을 뿐이었습니다. 또한 프리다 칼로처럼 모두가 기억하는 인물들이 망자의 세계에서도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모습과 서로를 ‘삼촌’, ‘사촌’이라 부르지만 실은 이승에서 기억해주는 가족들이 없는 이들의 대비되는 모습은 그 자체로 이미지가 이야기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 (2020.12.07.) [1인분 영화] 12월 세 번째 글은 '너무 신격화된 우상'(하)라는 제목으로 영화 (2.. 더보기 [1인분 영화] ‘코코’ – 너무 신격화된 우상(중) (2020.12.04.) (...) 우선 ‘미구엘’의 가족이 왜 대대로 신발 제작을 하게 되었으며 음악을 ‘배척’하게 되었는지 살펴봐야겠습니다. “멕시코에서 음악을 싫어하는 가족은 우리밖에 없을 거예요”라고 ‘미구엘’이 직접 언급까지 하거든요. 이야기는 ‘미구엘’의 고조할머니 ‘이멜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의 남편은 원래 음악을 하는 사람이었어요. 어느 날 남자는 꿈을 좇아 나서겠다며 집을 떠난 뒤 영영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알려져 있습니다.) 당장 그것에 슬퍼할 틈도 없었던 ‘이멜다’는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 강해져야만 했어요. 남편의 흔적을 모두 다 없애 버린 뒤 일을 하기 시작했고 그것이 신발을 만드는 일이었습니다. 대대로 이어졌어요. 음악은 가족을 멀어지게 했지만 신발은 가족을 모이게 했습니다. (...).. 더보기 [1인분 영화] ‘코코’ – 너무 신격화된 우상(상) (2020.12.02.) (...) 꿈은 공짜로 주어지는 게 아니라고,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텔레비전 속 그 사람은 이미 사회적으로 성공한 반열에 올라 있는, 스스로에 대한 확신에 찬 사람이었고요. 그는 대중적인 사랑을 받는 가수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노래로 아름다운 이야기를 선물했고, 또 어떤 이들에게는 꿈을 주었습니다. 그의 존재로 인해 특별한 이유도 없이 그냥 음악이 좋아진, 한 소년의 경우처럼요. 텔레비전 속 그 가수는 식상한 표현이지만 전설적인 인물로 후대에 이르기까지 남았는데, (...) (2020.12.02.) [1인분 영화] 12월 첫 번째 글은 '너무 신격화된 우상'(상)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7)에 관해 다뤘다. 전문은 구독자 이메일에서.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