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하지만 분명한 점은 지속해서 포기하지 않고 글을 쓴다면 어떤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겁니다. 물론 저도 확신할 순 없습니다. 열 권 쓴다고 해서 잘된다는 보장도 없고요. 그럼에도 지금은 쓸 수 있기에 써보는 것이죠. 달과 별처럼 누군가는 우리를 응원하고 있을 테니." (김연수)
소설가 요나스 요나손, 정세랑, 마르크 레비, 장강명, 로셀라 포스토리노, 정지돈, 가와카미 미에코, 김연수의 인터뷰가 실린 <Jobs 잡스 - Novelist 소설가>. 7년 전 영화에 대해 처음 글을 쓰기 시작했을 때, 김혜리, 정성일, 이동진, 신형철, ... 등의 이름들을 달과 별처럼 떠올리며 그들의 문장들을 생각했다.
소설은 쓰지 않지만 지금은 여러 소설가들의 이름도 생각한다. 쓰는 행위는 문장만이 아니라 삶의 태도와 방향, 가치관까지 만드는 일이다. 나날이 실패하고 또 나날이 다음 문장을 만들고, 이 책상에서 저 책상으로 자리를 옮기고 이 생각에서 저 생각으로 마음을 옮기며 사는 일. 지금 쓸 수 있는 문장을 자신이 표현할 수 있는 언어와 방식으로 적어내는 일. 쓸 수 있는 이야기가 결국 써야 하는 이야기가 된다.
728x90
반응형
'책 속에 머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병률 시인 새 시집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문학동네, 2020) (0) | 2020.09.04 |
---|---|
이근화 시인의 신작 산문 '아주 작은 인간들이 말할 때'(마음산책, 2020) (0) | 2020.08.28 |
복잡한 것을 복잡하게 읽기 -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0) | 2020.06.18 |
더 나쁜 쪽으로 향하지 않으려는 이야기: 2020년 02월 02일의 작은 기록 (0) | 2020.02.03 |
이번 생의 장례를 미리 지내며 시인은 시를 쓰네 (0) | 2019.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