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상의 세계에서 실제로 살며 교류하는 일: 영화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2024) (...)마츠의 부모는 그가 방 안에서 고립된 일상을 보낸다고 여겼지만 가상의 세계에서 이벨린은 사랑받는 친구이자 든든한 조언자였다. 게임 로그에 남은 그의 문자 언어로 된 대화는 이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를 통해 영상과 음성으로 되살려지며 삶이 지난 뒤에도 이야기가 계속해서 남는다는 진실을 들려준다. 한 사람의 이야기는 누군가의 삶에 흔적을 남긴다. 기억의 형태로 된 그것들은 현실 세계와 게임 속 가상 세계를 구분하지 않는다. 가령 소통에 어려움을 겪던 모자를 게임 속에서 대화하고 포옹하도록 이끌어내는 모습은 조금도 이질적이지 않다.⠀은 신체적 한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될 만큼 게임 공간에서 온전히 타인들과 교류하며 일생을 살았던 이를 추모하는 동시에 가족은 물론 '스타라이트' 길드에서 함께 활동했던 이들의.. 더보기 영화 '프리 가이'(2021) (2021)는 비디오 게임 속 논-플레이어블 캐릭터(NPC)인 '가이'(라이언 레이놀즈)를 주인공으로 하여 게임 업계 종사자들과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을 아우른다. 다른 미디어 믹스나 IP를 기반으로 한 것도 다른 어떤 작품의 시퀄/프리퀄/리메이크도 아닌데 오히려, (1982)이나 (2015), (2018) 같은 유사 장르 혹은 소재 영화를 적극 떠올리게 만드는가 하면 (2018) 등의 영화 포스터가 몇 장면에서 아예 직접 등장하기도 한다. 게다가 이 영화의 프리-포스트 프로덕션 시기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21세기 폭스를 인수하던 시기와 걸쳐 있는데 오히려 그것 덕분에 디즈니 산하의 IP 일부가 직접적으로 이스터에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영화 '프리 가이' 스틸컷 이 '익숙한 오리지널리티'가, 를 다시.. 더보기 '롤플레잉 게임'은 게임 역사에서 어떤 역할을 했나: 넷플릭스 시리즈 '하이 스코어' 리뷰 (...) 예를 들어 [하이 스코어] 3화에는 LGBTQ를 중점적으로 다룬 최초의 롤플레잉 게임인 '게이블레이드'(GayBlade, 1992)가 언급되는데, 1980년대 말부터 동성애를 향한 혐오가 사회적으로 컸을 당시, 그 게임은 '돈가방을 든 목사', '극성 보수파' 등을 몬스터로 등장시켜 그들을 없애는 스토리를 다뤘고 당시 대표적인 동성애 혐오자였던 미국의 언론인이자 정치인 팻 뷰캐넌(Pat Buchanan)이 '최종 보스'였다. 게임을 플레이 한 사람들은 개발자인 라이언 베스트(Ryan Best)에게 수많은 감사편지를 보냈다. 그 게임을 하는 동안 웃을 수 있어서 즐거웠다고. 이 시기에 이르면 롤플레잉 게임은 단지 '시간을 때우는' 킬링타임 콘텐츠가 아니라 플레이어 자신과 그의 '아바타'가 서로 .. 더보기 지금 가장 보고 싶은 영화: '내언니전지현과 나' 지금 가장 보고 싶은 영화는 다. 1999년 출시된 게임 '일랜시아'에 '아직도' 남아 있는 유저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다. [1인분 영화] 글, 그리고 피드에서 언급한 적 있는 이 작품은 나름대로 컴퓨터 게임에 오래 그리고 깊이 몰두했던 내게 오랜만에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기의 의미를 생각하게 했다. '인디다큐페스티발'에서 상영되었다는 소식을 뒤늦게 접한 탓에 이 영화를 극장에서 만나볼 기회가 과연 생길까 노심초사하며 보지 않은 영화에 사랑에 빠지는 기분을 또 오랜만에 느끼기도 했다. '일랜시아'의 십수 년차 유저이기도 한 감독에게 어떤 사람은 익명 뒤에 숨어 '근데 왜이렇게 병적으로 집착하는 이유가있나요 ??' 같은 한심한 댓글을 달았다. 문장 자체도 마음에 들지 않지만 자기 취향에 깊어본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