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영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넷플릭스 영화 '모럴 센스'(2022) 여러 가지의 이유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숨김없이 드러내는 일은 쉽지 않은 난이도를 요구하고 많은 장벽에 부딪히게 되는데, 그럴 때마다 한 사람과 다른 한 사람이 서로 '우리'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해 상기한다. 비록 관계에 있어서 완전히 대등하거나 평등한 것, 은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해도 그것을 건전하게 지속 가능한 것으로 이끄는 힘은 용기를 내는 마음에 그치지 않고 존중하는 자세에서 비롯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100여 년이 다 된 로맨스 장르 계보에, 여전히 새로운 영역이 남아 있다는 걸 (2022)는 소재 자체가 담을 수 있는 자극성에 골몰하지 않고 차이, 다양성, 존중, 배려와 같은 키워드로 풀어낼 수 있는 대중적인 스토리텔링에 충실하면서 보여준다. 더보기 넷플릭스 영화 '펭귄 블룸'(2020) 리뷰 - 나오미 왓츠 주연 (...) "당신 괜찮아?"라는 물음에 "다시는 그런 질문 하지 마"라고 간신히 답할 수밖에 없었던 이가 있다. 행복했던 순간 예고 없이 찾아온 사고. 바로 그 날 이후 그의 삶은 달라진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무너져 내렸다. 자신이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고, 이제는 돌아갈 수도 없고 더 나아질 리도 없다고 체념했을 때. 살아 있다는 것이 짐이라고 여기게 되었던 때. 계절이 바뀌듯 꽃이 필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이것은 그런 이야기다. 넷플릭스 영화 (2020)은 작중 '샘 블룸'(나오미 왓츠)의 남편이자 사진작가인 '캐머런 블룸'이 (작가 브래들리 트레버 그리브와 공저한) 집필한 동명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원작자인 샘과 캐머런 부부가 제작자(executive producers)로도 .. 더보기 영화 평점에 관한 댓글 3 (2021.02.07.) 제가 그리 대단한 식견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누굴 설득하거나 할 이유도 없으니 아마도 저도 이것 이후로는 다른 코멘트를 더 쓰지 않겠습니다만, 제가 "일반인"이 아니어서 저 댓글을 쓴 분들의 생각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씀하셨는데요. 어쩌다 보니 영화 업계에 얼마간 종사했었기에 평점이 좋다고 해서 영화사에서 좋게 써달라고 돈을 준 것이 아니라는 것의 제가 생각하는 한에서의 근거를 말씀드렸을 뿐입니다. 씨네21 지면과 매체를 읽는 한 사람으로서 매체와 매체 종사자를 함부로 판단하는 것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것에 불과하고요. 지금은 엄밀하게 영화 업계에 종사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보고 읽고 쓰는 것 좀 좋아하는 사람일 따름이니 "전문가"라 할 입장도 못 되고요. 그리고, 저라면 제 생각과 달라서.. 더보기 영화 평점에 관한 댓글 2 (2021.02.07.) 1. '전문 관객일수록 더 뚜렷한 주관이나 견해를 전문화된 언어나 구체적이고 상세한 분석을 담아 표현하는 사람에 가깝다'는 언급을 문제 삼으시는 건가요. 영화 기자나 평론가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제 생각과 아는 바를 적은 이 말은 "전문적이고 지적인 표현이 좋다"는 말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말씀하신 표현의 자유가 기자/평론가의 직업의식과 자질을 함부로 평가해도 될 만큼 방만하고 대단한 것인가요. 당연히 자기 할 말 할 수 있죠. 영화 별로였다고 말할 수 있고 그 영화 보지 말라고 주변에 떠들 수도 있죠. 그러나 "표현의 자유"라는 건 기본적으로 책임과 존중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자유가 주어졌다고 해서 "아무 말이나 해도 된다"라고 할 수 있나요? 제대로 된 비판이라면 모를까. 님께서 악플을 썼다.. 더보기 댓글 달기 전에 생각하기 - 넷플릭스, 승리호, 영화리뷰, 영화평점 www.instagram.com/p/CK59psWpSGT/ 댓글 달기 전에 조금만 더 생각하고 달면, 아니 경우에 따라 그걸 아예 쓰지 않으면, 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도움이 안 되더라도 최소한 무해하다. '넷플릭스 씨네21에 얼마 줬냐', '평론가들하고 감독 친분 있는 듯', '어이가 없다', '광고비 많이 썼네' 따위의 댓글을 쓰는 사람들의 감상을 나는 별로 존중할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 이전에도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든 이든 소위 이목이 집중되는 영화들마다 어김없이 그랬다. 몇 번을 쓰다 지우다 아래와 같이 댓글을 썼다. "본인 감상과 다르다고 돈 받았다느니 어이가 없다느니 하는 반응들이 보이네요. 본인 감상과 취향이 소중한 만큼 다른 사람 생각을 (매체 온라인에도 게재돼 있는..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