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드니빌뇌브

미래가 아직 오지 않았음을 기억하기: '컨택트'(2016) "모든 여정을 알면서, 그 끝을 알면서도, 난 모든 걸 받아들여. 그 모든 순간을 기쁘게 맞이하지." -‘루이스’의 내레이션 막스 리히터의 ‘On the Nature of Daylight'를 들을 때면 영화 (Arrival, 2016)의 첫 번째 신과 마지막 신이 지금도 생생하게 스친다. 사람은 자신의 앞에 벌어질 일을,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을 알고 싶어 하기 마련이다.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 특정한 언행이나 사건을 되돌리기를 원하는 것도 그 일이 장차 미래에 어떤 영향을 가져오는지를 사후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삶은 그러니까 오직 지금만 알 뿐 끝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현재라는 이름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 언어학자인 ‘루이스’(에이미 아담스)는 어느 날 갑자기 지구에 나타난 열두 척의 ‘셸’.. 더보기
김동진의 말 01 - “네 삶 너머에도 너의 이야기는 존재하니까.” _ "네 삶 너머에도 너의 이야기는 존재하니까." (There are days that define your story beyond your life.) [영화 (Arrival, 2016), 드니 빌뇌브] 에이미 아담스가 연기한 언어학자 '루이스'가 먼 곳을 응시하는 저 표정에는 지나온 수십 년의 시간과 아직 다가오지 않은 더 기나긴 수백 년의 세월이 응축돼 있다. 얕은 산 아래로 내려오는 구름들과 저마다 짐을 꾸리고 분주히 어디론가 떠나가는 사람들. 조약돌 같기도 바위 같기도 한데 또 거울 같기도 한 헵타포드 종족의 비행선들이 지나간 자리. '루이스'는 옆에 선 물리학자 '이안'에게 묻는다. "당신의 전 생애를 다 볼 수 있다면, 삶을 바꿀 건가요?" 바꾸지 못한 것과 바꿀 수 없었던 것들이 연속이 지.. 더보기
김동진의 말 02 - 네 삶 너머에도 너의 이야기는 존재하니까 _ "네 삶 너머에도 너의 이야기는 존재하니까." (There are days that define your story beyond your life.) [영화 (Arrival, 2016), 드니 빌뇌브] 에이미 아담스가 연기한 언어학자 '루이스'가 먼 곳을 응시하는 저 표정에는 지나온 수십 년의 시간과 아직 다가오지 않은 더 기나긴 수백 년의 세월이 응축돼 있다. 얕은 산 아래로 내려오는 구름들과 저마다 짐을 꾸리고 분주히 어디론가 떠나가는 사람들. 조약돌 같기도 바위 같기도 한데 또 거울 같기도 한 헵타포드 종족의 비행선들이 지나간 자리. '루이스'는 옆에 선 물리학자 '이안'에게 묻는다. "당신의 전 생애를 다 볼 수 있다면, 삶을 바꿀 건가요?" 바꾸지 못한 것과 바꿀 수 없었던 것들이 연속이 지.. 더보기
[1인분 영화] 12월호 03 - 주어진 시간에 다르게 도착하는 방법(2) [1인분 영화] 12월호 세 번째 글은 '주어진 시간에 다르게 도착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6)에 관한 글의 2부를 발행했다. 물론 국내 개봉 제목을 정하기까지의 전후 사정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지만, 영화 의 원제인 ‘Arrival'이 더 넓은 의미에서 ’Contact'보다 영화를 온전히 설명할 수 있는 제목인 것도 지금 하게 될 이야기 때문이다. 인간과 ‘헵타포드’의 접촉, 대면이 아니라 ‘헵타포드’가 인류가 사는 지구에 ‘도달’했다는 사실 자체. 접촉은 두 존재의 행위 자체만을 말하지만 도달은 앞으로 펼쳐질 것들의 시작이 바로 그 접촉이라는 점을 내포한다. ‘헵타포드’들이 인간 세상에 도착했다. 여기 도착한 그들은 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혹은 그들은 왜 여기 온 것일까. (...) 더보기
[1인분 영화] 12월호 02 - 주어진 시간에 다르게 도착하는 방법(1) [1인분 영화] 12월호 두 번째 글은 '주어진 시간에 다르게 도착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6)에 관한 글의 1부를 발행했다. 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2016)에 관해서는 이미 여러 차례 길고 짧은 글과 말들을 통해 이야기했다. 얼마 전 한 독립서점에서 진행하는 영화 모임에서도 이 작품을 다뤘고 지난 연재 글 중 에 관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었음은 물론이다. 지금에 와서 다시 를 꺼내는 이유. 그 이유란 ‘지금 내게 가 다시 도착했기 때문’이라고 밖에는 말할 수 없겠다. 열 번은 족히 감상했을 영화에 대해서 또 무슨 이야기를 새롭게 꺼낼 수 있을까 싶겠지만 2019년 11월 마지막 금요일, 그날 어떤 일이 일어났다. (...) 더보기
[1인분 영화] 11월호 03 - 우린 너무 시간에 매여 있어. [1인분 영화] 11월호 세 번째 글은 에세이 - '우린 너무 시간에 매여 있어.'라는 제목으로 막스 리히터의 곡 'On the Nature of Daylight'와 영화 (2016)에 관해 썼다. 독일 태생의 영국의 음악가 막스 리히터(Max Richter)가 2004년에 작곡한 곡인 ‘On the Nature of Daylight’를 들을 때면 잠시나마 시간의 굴레를 벗어나는 기분이 된다. 이 곡을 처음 접한 건 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2016)의 오프닝과 클로징이다. 즉 한 편의 영화를 여닫는 곡이 하나의 곡이다. 요한 요한슨이 만든 영화 오리지널 스코어와 달리 영화 앞뒤에 삽입된 ‘On the Nature of Daylight’는 한층 고요함과 차분함 속에서 감정을 서서히 끌어올린다. 에이미 ..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