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장류진

연극 '일의 기쁨과 슬픔'(2021) "상자를 열었다. 분홍색 하트가 그려진 백설기 한조각과 저마다 색이 다른 경단 네개, 쑥색 꿀떡 두개가 들어 있었다. 허기가 느껴졌고, 이내 침이 고였다. 랩 포장을 벗겨내고 샛노란 고물이 포슬포슬하게 묻혀진 경단 하나를 집어 입에 넣었다. 방금 쪄낸 듯, 아직 따뜻했다. 오늘 새벽에 찾았나보네. 나는 달고 쫄깃한 경단을 우물거리면서 생각했다. 빛나 언니는 잘 살 수 있을까. 부디 잘 살 수 있으면 좋겠는데." -장류진, 「잘 살겠습니다」, 『일의 기쁨과 슬픔』에서(창비, 2019, 33쪽) ⠀ 연극 을 공연 마지막 날에야 관람했다. 소설에서 읽었던 인물들 - 민희, 구재, 빛나, 안나, 거북이알 등 - 을 무대에서 만나는 것도 새로운 경험이었는데, 소설집 속 단편 중 여섯 편의 인물들이 마치 느슨한 세.. 더보기
나는 지금 이 순간의 한복판에 서서 - 장류진, 달까지 가자 문이 닫히고, 회계팀장의 발소리가 점점 멀어지고, 끝내 들리지 않게 되자 우리는 또다시 몰아뒀던 웃음을 와르르 터뜨렸다. 밭은기침을 하던 지송이가 목이 메었는지 빨대로 사과주스의 색을 닮은 맥주를 급하게 들이켰고 은상 언니는 의자를 45도쯤 뒤로 기울이고 천장을 바라보면서 새끼손가락으로 눈물까지 찍어내고 있었다. 그 모습들이 하찮고 우스워서 나는 내가 보고 있는 이 장면을 사진 찍듯 꼭 붙잡아 어딘가에 담아두고 싶다고 생각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미 그렇게 해두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조금 이상했다. 벌써 다 알고 있다는 느낌, 미래에서 나를 과거처럼 내려다보고 있는 것만 같은 기묘한 감각이 일었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더는 이 회사에 다니지 않는 때가 온다면, 그리고 그때 이곳을 그리워할 .. 더보기
장류진 작가의 새 장편소설 '달까지 가자'(창비, 2021) "나는 겁이 많고, 걱정이 많고, 좀처럼 스스로를 믿지 못하지만 내가 만든 이야기들은 나보다 씩씩하고 나보다 멀리 간다. 그 뒷모습을 지켜보면서, 이제 더는 나 자신을 의심하지 말자고 다짐할 수 있었다."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 작가의 말에서, 창비, 2019)“장편소설을 쓴 건 처음이라 많이 두근거린다. 어릴 적 과자를 먹을 때면 다분히 의도적으로 닦지 않고 남겨둔 손가락 끝의 양념 가루들을 마지막 순간에 쪽쪽 빨면서 ‘음, 괜찮은 한봉지였어’ 생각하곤 했다. 이 책의 마지막을 읽고 있는 당신도 최후의 맛을 음미하듯 ‘음, 괜찮은 한권이었어’라고 느껴주시면 좋겠다고 감히 소망해본다. 이 장을 덮고 나서 앞의 것들을 모두 잊어버리더라도 그 느낌 하나만 남는다면 더는 바랄것이 없겠다고.” (장류.. 더보기
'워라밸'이 아니라 '워라하' 찾기: 일 바깥의 기쁨과 슬픔 아마존의 창립자이자 최고 경영자인 제프 베조스는 '워크-라이프 밸런스'가 아닌 '워크-라이프 하모니'를 강조한다. 균형이라는 말이 서로 대립되는 요소 사이의 그것임을 암시하기 때문이라는 그의 말은 꽤 설득력 있다. 일과 삶을 서로 상충하는 별개의 요소로 두고 그 사이의 접점을 찾을 것이 아니라 둘을 통합적인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생겨나는 생산성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며 그는 "It actually is a circle. It's not a balance."라고 말한다. 당연히 이 말은 경영자의 관점에서 나오는 말이고 모두에게 정답은 아니지만 요즘의 내게는, 아니 이미 얼마 전부터의 내게는 공감되는 말이다. '영화 일'을 할 때는 '일을 할 때의 나'와 '일을 하지 않을 때의 나'가 엄밀히 대립되거..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