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씨네21

김혜리, 묘사하는 마음 “영화를 충분히 침전시켜 결론을 품고 쓰기 시작한 기억은 거의 없다. 내게 해석은 묘사의 길을 걷다 보면 종종 예기치 못하게 마주치는 전망 좋은 언덕과 같았다. 묘사하는 마음이란, 그런 요행에 대한 기대와 ‘아님 말고. 이걸로도 족해’ 하는 태평스러운 태도를 포함한다. 묘사는 미수에 그칠 수밖에 없지만, 제법 낙천적인 행위이기도 하다.” (11쪽) ⠀ “그러나 확실한 것은, 빼어난 전문 스턴트맨이 즐비하고 뭐든 디지털 기술로 그려낼 수 있는 시대에 톰 크루즈는 배우가 직접 감행하는 액션이 만들어내는 미묘한 차이와 그것이 객석에 가져다주는 쾌감의 차이를 믿고 실천한다는 점이다. 에는 왜 좀 더 간단한 방법으로 작전을 수행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에단 헌트가 “그렇지만 나는 더 나은 방법으로 하고 싶다”고 답하.. 더보기
씨네21 1292호(썰 합본 특대호) - '미나리' 배우 윤여정 & 감독 봉준호 대담 씨네21 스토어팜에서 주문해서 만난 이번 1292호(설 합본 특대호) 의 큰 줄기는 와 와 이다. 그중에서도 . 감독 봉준호와의 대담에서 배우 윤여정은 이런 이야기를 한다. "매일매일 공부했으니까. 노력하는 사람을 따라갈 사람은 없어. 아무리 천재라도 노력하지 않으면 천재성을 발휘할 수 없잖아요." 이런 이야기도 한다. "나를 필요로 한다는데 시간이 맞으면 난 해요. 너무 말도 안 되는 작품이 아니면. Nothing to lose. 꼭 주인공을 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자유롭게 하니까 굉장히 편안하고 좋아요." 글로 다 형언하기 어려운 응원이 되는 말이었다. 스스로 생각하고 짓는 언어들도 있지만, 때로는 누군가로부터 전해진 언어에 기대어 어떤 시간을 보낼 때가 있다. 조금 늦게 받아 읽는 이번 호 씨네리.. 더보기
영화 평점에 관한 댓글 3 (2021.02.07.) 제가 그리 대단한 식견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누굴 설득하거나 할 이유도 없으니 아마도 저도 이것 이후로는 다른 코멘트를 더 쓰지 않겠습니다만, 제가 "일반인"이 아니어서 저 댓글을 쓴 분들의 생각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씀하셨는데요. 어쩌다 보니 영화 업계에 얼마간 종사했었기에 평점이 좋다고 해서 영화사에서 좋게 써달라고 돈을 준 것이 아니라는 것의 제가 생각하는 한에서의 근거를 말씀드렸을 뿐입니다. 씨네21 지면과 매체를 읽는 한 사람으로서 매체와 매체 종사자를 함부로 판단하는 것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것에 불과하고요. 지금은 엄밀하게 영화 업계에 종사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보고 읽고 쓰는 것 좀 좋아하는 사람일 따름이니 "전문가"라 할 입장도 못 되고요. 그리고, 저라면 제 생각과 달라서.. 더보기
영화 평점에 관한 댓글 2 (2021.02.07.) 1. '전문 관객일수록 더 뚜렷한 주관이나 견해를 전문화된 언어나 구체적이고 상세한 분석을 담아 표현하는 사람에 가깝다'는 언급을 문제 삼으시는 건가요. 영화 기자나 평론가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제 생각과 아는 바를 적은 이 말은 "전문적이고 지적인 표현이 좋다"는 말과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말씀하신 표현의 자유가 기자/평론가의 직업의식과 자질을 함부로 평가해도 될 만큼 방만하고 대단한 것인가요. 당연히 자기 할 말 할 수 있죠. 영화 별로였다고 말할 수 있고 그 영화 보지 말라고 주변에 떠들 수도 있죠. 그러나 "표현의 자유"라는 건 기본적으로 책임과 존중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자유가 주어졌다고 해서 "아무 말이나 해도 된다"라고 할 수 있나요? 제대로 된 비판이라면 모를까. 님께서 악플을 썼다.. 더보기
영화 평점에 관한 댓글 (2021.02.07.) 1. 제 코멘트가 누군가에게 날카롭게 혹은 공격적으로 다가온다면 죄송한 일이지만, 일부 댓글의 저 사람들이 근거도 전무하고 책임질 수도 없는 말들을 함부로 썼듯이 저도 제 생각은 쓸 수 있다고 생각해서 남겨주신 코멘트에 대한 제 의견을 덧붙이겠습니다. 매체의 한줄평, 나아가 리뷰, 비평의 역할이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바는 각자 다르겠지만, 저는 기자나 평론가 역시 자신의 주관과 신념, 지식 등에 따라 평가하는 관객의 한 사람일 뿐이며 '모두를 만족시키'거나 '완전히 객관적'인 평만을 쓰는 일은 가능하다고 생각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전문 관객일수록 더 뚜렷한 주관이나 견해를 전문화된 언어나 구체적이고 상세한 분석을 담아 표현하는 사람에 가깝습니다. 저널리즘과 비평에 종사하는 사람은 정해진 문제의 정해진 .. 더보기
댓글 달기 전에 생각하기 - 넷플릭스, 승리호, 영화리뷰, 영화평점 www.instagram.com/p/CK59psWpSGT/ 댓글 달기 전에 조금만 더 생각하고 달면, 아니 경우에 따라 그걸 아예 쓰지 않으면, 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도움이 안 되더라도 최소한 무해하다. '넷플릭스 씨네21에 얼마 줬냐', '평론가들하고 감독 친분 있는 듯', '어이가 없다', '광고비 많이 썼네' 따위의 댓글을 쓰는 사람들의 감상을 나는 별로 존중할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 이전에도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다. 든 이든 소위 이목이 집중되는 영화들마다 어김없이 그랬다. 몇 번을 쓰다 지우다 아래와 같이 댓글을 썼다. "본인 감상과 다르다고 돈 받았다느니 어이가 없다느니 하는 반응들이 보이네요. 본인 감상과 취향이 소중한 만큼 다른 사람 생각을 (매체 온라인에도 게재돼 있는.. 더보기
한줄평과 평점은 영화 이야기의 전부가 아닙니다 ​ (...) 5. 만약 관객들의 호평이 쏟아지는 영화에 기자, 전문가 평점이 반대의 양상으로 나타났다면 어땠을까요? 모 평론가의 블로그에는 그 평론가를 비'난'하는 수백 개의 댓글이 달렸었죠. 이나 같은 영화에 대한 기자, 평론가 평점에 대해 인터넷상의 반응이 어땠는지, 혹은 좀 더 시간을 거슬러 같은 영화를 떠올려봐도 좋겠고요. 있어 보이려고 유식한 척한다? 대중과 유리되어 그들만의 세계에 빠져 있다?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봐온 내용들이라 굳이 출처를 남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6. 혹시나, 대중들의 눈높이나 기준에 맞춘 리뷰와 비평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건 아니겠죠. 자기 주관을 갖고 영화 저널리즘을 업으로 삼는 사람이 왜 다른 사람들, 그것도 저널리즘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도 없는 사람의.. 더보기
당신이 생각하는 그 '귀한 영화의 본질'이란 게 무엇입니까 https://www.youtube.com/watch?v=9y2MS9IL1Zo&t=408s 요즘 씨네21의 유튜브 채널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해 몇 개의 리뷰 등의 콘텐츠들을 챙겨보고 있다. 임수연 기자의 리뷰 영상을 보고 덧글을 보았다. 그 덧글과 거기에 내가 쓴 답글을 옮긴다. '리뷰의 수준'과 '기자의 자질'을 운운하면서 과연 영화를 제대로 보기는 한 건지 의심스러운 수준에 읽는 내가 다 민망한 덧글. 유튜브에서 이런 덧글 보는 게 하루이틀 일은 아니지만서도 도대체 맥락이라는 걸 생각은 하는 건지 아님 순수하게 보고 싶은 것만 골라 보는 건지... '명백한 사족'이라고요? 당신은 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보시긴 했나요? 대체 '이 귀한 영화의 본질'이라는 게 무엇인데요? 리뷰어가 그 이야기..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