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어드리프트

[1인분 영화] ‘어드리프트: 우리가 함께한 바다’ – 보이지 않지만 거기 있는 것(하) (2020.09.28.) (...) "스토리가 누군가에게 스토리텔링 될 수 있는 건, 사람이 보이지 않는 것을 믿을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 그것은 생명을 앗아가는 재난을 직접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에게도 그것이 거기 있었다는 생동감을 줍니다. 어떤 경험은 찰나일지라도 평생을 바꿔버릴 수 있습니다. 태미 올드햄 애쉬크래프트는 지금도 항해를 계속하고 있다고 해요. 어디선가 또 다시 폭풍을 만날지도 모르죠. 그러나, 이미 허리케인으로부터 살아남은 적 있는 태미는 세상 누구보다 강인한 선장이나 삶의 항해자가 되어 있을 겁니다." (...) (2020.09.28.) 이메일 영화리뷰&에세이 연재 [1인분 영화] 9월호 열두 번째 글은 '보이지 않지만 거기 있는 것'(하)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8)에 관해 앞선.. 더보기
[1인분 영화] ‘어드리프트: 우리가 함께한 바다’ – 보이지 않지만 거기 있는 것(중) (2020.09.25.) (...) 재난 상황을 묘사하는 방식으로는 흔치 않게 기억 속 지난 일상의 단면들이 현재에 빈번하게 개입하도록 이야기를 구성한 건 가 그만큼 실존 인물이 겪은 이야기에서 감정을 제대로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는 뜻입니다. ‘태미’가 정말 ‘리처드’가 바로 옆에서 조언해주듯이 그의 음성을 떠올리며 삶의 의지를 다잡았고 결정적인 순간들마다 5개월 전 과거의 나날들을 회상했기 때문에, 영화 역시 표류기와 로맨스를 기계적으로 교차해놓은 게 아니라 각색의 과정에서 그 점을 고스란히 구현한 것이죠. (...) 이메일 영화리뷰&에세이 연재 [1인분 영화] 9월호 열한 번째 글은 '보이지 않지만 거기 있는 것'(중)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8)에 관해 앞선 글과 이어서 썼다. 전문은 구독자 이메일에서. 10월호 구.. 더보기
[1인분 영화] ‘어드리프트: 우리가 함께한 바다’ – 보이지 않지만 거기 있는 것(상) (2020.09.23.) (...) 요트를 타고 수천 킬로미터를 항해하는 이 이야기의 큰 줄기를 관객은 처음부터 이미 아는 채로 영화를 함께하게 됩니다. 사방을 둘러봐도 아무런 생명의 흔적이나 붙잡을 무언가도 보이지 않고 저 수평선 너머엔 오직 구름 낀 하늘 밖에 존재하지 않을 때, 그 사람은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는 영화의 실제 주인공 태미가 직접 쓴 회고록을 기반으로 하여 5년여의 시나리오 작업을 거쳐 탄생한 작품입니다. (...) 이메일 영화리뷰&에세이 연재 [1인분 영화] 9월호 열 번째 글은 '보이지 않지만 거기 있는 것'(상)이라는 제목으로 영화 (2018)에 관해 썼다. 전문은 구독자 이메일에서. 10월호 구독자 모집은 9월 30일까지 열려 있다. (링크) 더보기
영화 '어드리프트: 우리가 함께한 바다', '너의 결혼식' 짧게 끼적 (2018) 보이지 않는 것이, 보이는 것을 이긴다. 사랑과 삶은 언제나 그렇다. 삶을 송두리째 앗아갈 사건이 닥쳐오더라도, 수평선 너머 가늠조차 할 수 없는 것들을 사랑은 능히 바라보게 만든다. 그리고 항해를 이어갈 수 있게 목소리로 다가온다. 다른 누구에게도 보이거나 들리지 않지만 나에게만은 분명히 존재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거의 포기할 뻔했고 주저앉기 직전이었던 어떤 삶을 다시 살아보게 만들었다면, 그 자체로 하나의 징표가 아니라면 무엇이겠는가. 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존재를 이 삶에서 믿어보게 하는 영화다. (2018) 지나간 것들이 끝내 나를 성숙하게 했음을 깨닫는 일은, 더 이상 그때가 내게 다시 있을 수 없다는 걸 확인하고서야 이루어진다. 그때서야, 나의 과거를 함..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