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츠네오는 뭔가를 깨달았다. 조제가 하는 말은 거짓이 아니라 하나의 바람이며 꿈이라는 것을. 그것은 현실과는 다른 차원으로 엄연히 조제의 가슴속에 존재하는 것임을."
-다나베 세이코, 『조제와 호랑이와 물고기들』에서 (양억관 옮김, 작가정신, 2017)
⠀
그때는, '좋은 이별'이라는 게 있을까에 관해 생각했었다. 그런 게 있다면 '나쁜 이별'도 마땅히 있는 것일 텐데 이에 대한 판단과 감회는 자신이 볼 수 없는 삶의 마지막 뒷모습을 남길 때까지도 내내 재정의되고 새로이 기억될 테니 좋고 나쁨 자체가 관건은 아니겠다. 다만 그것이 있었다는 사실 자체와 그로부터 떠나가고 다가오는 것들이 겹겹이 교차하는 그 다음이 더 중요해지는 것이겠지. 시간이 모든 걸 해결하지는 못할 것이다. 그러나 지난 시간들 속에서 그 세부와 풍경을 다시금 응시하는 일이, 지금 여기에 선 스스로에게 어떤 차원의 다독임을 만들어줄 수는 있지 않을까. 그래서 <조제>(2020)를 보고 나서 찬바람 속을 걸으며 지난 기록들을 꺼내보기로 했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2003)을 한 영화 모임에서 다루고 해설했던 그날밤 가만히 남겨둔 기록이 있다. 그것을 다시 불러두고 싶다. 그러고 나서 한 번 더 그것에 관해 생각하겠다. (2020.12.15.)
⠀
"(...) 그러나, 내가 넘어진 자리가 여기라는 바를 아는 사람은, 다시 일어날 수 있다. 막연한 환상에 기대지 않은 채 나에게 '다음'이 분명 없지 않을 것임을 믿는 한, 나는 앞으로도 넘어진 곳에서 다시 몸을 일으킬 것이다, 비록 상처투성이라 할지라도. 이 글을 여기까지 읽은 당신 역시, 넘어져 있다면 꼭 다시 일어났으면 좋겠다. 그랬으면 한다. 우리가 넘어진 자리는 아픈 곳이지만, 우리가 일어설 때 그곳은 '아픔이 있었던 곳'이 될 테니까. 다리 대신에라도 손이 움직일 수 있으니까. 이렇게 말해도 될까. 좋은 이별이라는 게 있다면, 그건 주저앉아 있던 순간에도 내 눈물을 닦은 게 내 손이었다는 걸 잊지 않게 되는 순간 찾아오지 않을까. (2018.06.23.)
아픔이 있었던 곳에서, 다리 대신 손이라도 움직여서, 다시 사람은 일어난다. 그 손으로 눈물을 닦고, 그 손으로 넘어진 자리를 딛고. <조제>(2020)를 보고 나서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2003) 생각을 하다가 그것에 관해 2004년에 이동진 평론가님이 쓴 평문을 생각하다가 평론가님이 다른 책에서 쓴 또 다른 말을 어렴풋이 떠올렸다.
"한계선 근처에서 스스로의 연약함을 고스란히 드러내면서도 끝끝내 버텨내려 할 때, 비로소 인간은 숭고해질 수 있습니다. 먼 훗날의 결정적 패배가 예감된다고 해도."
-이동진, 『밤은 책이다』에서(위즈덤하우스, 2011)
'극장 밖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플레잉 게임'은 게임 역사에서 어떤 역할을 했나: 넷플릭스 시리즈 '하이 스코어' 리뷰 (0) | 2021.01.01 |
---|---|
순간을 포착하고 그것을 이내 흘려보낸 이의 삶: 영화 '비비안 마이어를 찾아서'(2013) (0) | 2020.12.19 |
워너와 HBO Max에 입을 연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0) | 2020.12.15 |
'1917'부터 '테넷' 그리고 '내언니전지현과 나'까지: 2020년을 기억할 다섯 편의 영화 기록들 (0) | 2020.12.13 |
대부분 실패하고 어쩌다 간신히 성공하는 순간들: 넷플릭스 영화 '맹크'(2020)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