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로얄'(2006)부터 시작해 '노 타임 투 다이'(2020)에 이르기까지. 다섯 편의 시리즈를 통해 다니엘 크레이그의 6대 '제임스 본드'가 쌓아온 것은 시간이다. 역대 시리즈 중 가장 긴 <007 노 타임 투 다이>의 상영시간(163분)은 필연적이었는데, '베스퍼 린드'(에바 그린)부터 '마들렌 스완'(레아 세이두)은 물론이고 '펠릭스 라이터'(제프리 라이트) 등에 이르기까지 본드와 함께했거나 함께해 온 수많은 이들을 되새기는 의미에서 그렇고 다니엘 크레이그가 연기한 마지막 본드 이야기라는 점은 새삼스럽게 언급조차 할 필요도 없겠다.
⠀
세 번째 크레이그 영화인 '스카이폴'(2012)이 걸작에 가까웠던 걸 생각하면 '스펙터'(2015)'와 '노 타임 투 다이'를 보면서 아쉬움이 드는 건 다소나마 어쩔 수 없는 점이기도 한데, "날 용서해 줘"라는 말로 과거의 마음을 정리하는 일부터 한때 은퇴했던 그가 다시 '007' 코드명으로 복귀하기까지 벌어지는 일련의 에피소드들은 꼭 필요한 것들이었고 후반부에 이르러 그가 내리는 어떤 결심 또한, 충분한 설득력을 갖추고 있다.
⠀
관건은 캐릭터 활용인데, '노미'(라샤나 린치)와 '사핀'(라미 말렉) 등 이번 작품에서 새롭게 합류한 이들은 모두 본드를 위한 들러리가 되기로 한 것처럼 강한 인상을 남기지는 못한다. (와중에 아나 디 아르마스가 연기한 '팔로마'는 짧은 등장에도 오히려 '노미'보다 좋은 활약을 펼친다) 전편 '스펙터'의 메인 빌런이었던 '블로펠드'(크리스토프 발츠)의 퇴장 또한 기능적으로 다가온다. 그럼에도 <007 노 타임 투 다이>를 다 본 뒤 더 짙게 남는 건 작품의 완성도에 대한 생각보다는 이번 작품이 다니엘 크레이그를 만나는 마지막 <007> 영화라는 실감이다.
⠀
영화 엔딩 크레디트의 시작 부분에 나오는 곡은 루이 암스트롱의 'We Have All the Time in the World'다. 기억하고 기억되는 한 어떤 것은 영원에 가까울 수 있으므로, 거기에 '죽는 시간' 같은 건 없겠다. 제목도 '죽을 시간이 없다' 같은 직역보다는 '죽는 시간은 없다'처럼 읽어보는 게 더 어울리지 않을까 하고, 크레디트 말미에 나오는 'James Bond Will Return'이란 문구를 읽으며 생각했다.
(...)
https://brunch.co.kr/@cosmos-j/1347
'극장 밖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나만의 작은 숲을 찾아야겠다: 다시, 영화 '리틀 포레스트'(2018) 리뷰 (0) | 2021.11.10 |
---|---|
시즌 오리지널 영화 '어나더 레코드'(2021) - 신세경 배우, 김종관 감독 (0) | 2021.11.07 |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2021) (0) | 2021.10.10 |
‘일반인’이 아닌 ‘비 장애인'의 시선과 태도로: 영화 '나의 특별한 형제'와 '나의 노래는 멀리멀리' 리뷰 (0) | 2021.09.13 |
클래스101 - [취향이 더 깊어지는 영화 에세이 쓰는 법] 오픈 (0) | 202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