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극장 밖에서

영화 '비공식작전'(2023) - 그날의 작전이 '비공식'이었던 이유

728x90
반응형
김성훈 감독의 7년 만의 신작 영화 <비공식작전>(2023)은 1986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실제로 피랍되었던 한국인 외교관 ‘도재승’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다. (이 서술 외 대부분의 요소들은 영화 내에서 가공 및 각색되었다.) 비교적 근작 중 하나인, 류승완 감독의 영화 <모가디슈>(2021)가 내전 등으로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 펼쳐지는 탈출 실화를 다룬다는 점에서 유사하게 다가오는 면이 있지만, <모가디슈> 쪽이 남북 대사관 사이에서 생겨난 연대에 중점을 둔다면 <비공식작전>은 조금 당겨 말하면 직업적 사명 그리고 자국민을 보호하는 국가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영화 <비공식작전> 줄거리
 
학력으로도 인맥으로도 후배에게 밀려 중동 지역만 5년째 담당 중인 외무부 사무관 '이민준'(하정우)은 모두가 퇴근한 어느 날 밤 우연히 전화를 통해 외교관만 아는 암호로 된 구조 요청 메시지를 듣는다. 메시지 주인공은 1년 반 전에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피랍된 한국인 외교관 '오재석'. 정부에서 직접 개입할 수 없는 상황상 외무부에서는 비밀리에 인질 교환을 위한 협상 통로를 모색하고, 민준은 현지에 직접 파견돼 오재석을 데려오는 임무를 맡는다. 그런데 베이루트 공항에서부터 인질 협상 소문을 들은 공항경비대에 쫓기는 신세가 되고, 우연히 탄 택시에서 한국인 기사 '김판수'(주지훈)를 만난다. 아랍어와 불어에 능통하지만 나이도 정체도 의심스러운 판수와 어떻게든 오재석을 찾아 구해내야만 하는 민준의 어색한 동행이 시작되는 동안 피랍된 외교관 구출이 진행 중이라는 소문으로 현지 무장 단체들이 개입하며 상황은 더욱 복잡해져 간다.
 
오재석의 생사를 확인한 뒤 몸값을 납치범에게 주고 그를 생환시키기만 하면(?) 되는 정도의 간단한 일이면서 미국으로 발령받을 수 있는 기회라고 여겼던 민준의 짐작과 달리 현장에서 상황은 계속해서 꼬인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인질 협상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을 들은 현지 무장 단체 등이 움직이기 시작했기 때문이고 무엇보다 작전이 외무부에서 독자적으로 은밀하게 진행하는, 당시 안기부와 청와대의 승인을 거치지 못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좀 더 정확히는, 안기부에서도 이를 파악하지만 상황을 지켜보기로 하는 쪽에 가깝다)
 
영화에서는 오재석의 피랍 후 1년 반이 지나는 동안 정부의 대응, 즉 오재석의 생사 파악 및 납치의 배후 추적 등이 미온적이고 지지부진했던 것으로 그려지는데 이 또한 이유가 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유치, 준비하면서 국제행사를 앞두고 민감한 정치 외교적 이슈가 대두되는 것을 꺼렸기 때문, 그리고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면서 선거를 의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1년 반 전 레바논에서 피랍된 외교관을 무사히 고국으로 데려오는 작전이 '비공식'일 수밖에 없었던 환경인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공식작전> 속 민준과 판수 일행은 대내외적으로 모두 어려움에 직면한다. 돈 냄새를 맡고 이들의 생사를 위협해 오는 현지 군과 무장 단체들은 물론이고, 중요한 순간 해외 송금 차단으로 훼방을 놓는 안기부의 압력 등이다.

 

(...)

https://brunch.co.kr/@cosmos-j/1507

 

그날의 작전이 '비공식'이었던 이유

영화 '비공식작전'(2023) 리뷰 | 김성훈 감독의 7년 만의 신작 영화 <비공식작전>(2023)은 1986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실제로 피랍되었던 한국인 외교관 ‘도재승’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다. (이

brunch.co.k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