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거의 일주일에 가까운 설 명절 연휴를 포근하게 보낸 직후 찾아온 입춘 한파 속에서 영화 한 편을 고르고 노트북을 펼친다. 3년 전 이 지면 3월호에서 영화 <비와 당신의 이야기>(2020)를 다루며 조지 엘리엇의 소설 속 한 대목의 인용으로 마무리한 적이 있다. “우리가 이 땅을 이토록 사랑할 수 있음은 이 땅에서 보낸 유년 시절 때문이며, 자그마한 손가락으로 따던 그 꽃들이 봄마다 이 땅에서 다시 피기 때문이다.”* 봄을 함께 맞이하자며 독자들에게 편지처럼 건넸던 이 이야기를 혹시 기억하실는지.
위 소설 속 구절은 그레타 거윅의 영화 <작은 아씨들>(2019)에서 대사로 등장한다. 조와 베스 두 자매는 바닷가에 앉아 책을 낭독한다. 그리 넉넉하지 않은 집안의 네 자매 중 둘째인 조는 글을 써서 가족들을 먹여 살리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셋째 베스는 넷 중 제일 심성이 착하고 감수성이 풍부하지만 병약해 바깥출입을 많이 하지 못하고 집 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다. 뉴욕에서 글을 쓰며 하숙하던 조는 베스의 건강이 나빠졌다는 소식에 고향으로 달려오고 동생에게 힘을 주기 위해 몇 년 전 네 자매가 함께 거닐었던 바다에 온 것이다.
"고난이 많았기에 즐거운 이야기를 썼다."
-루이자 메이 올컷(1832~1888)
문학이나 영화 속 등장인물의 형제자매들 중 누군가 아프거나 단명하는 이야기는 새삼스러울 것도 아니지만, 여기서 이 대목을 언급하는 건 조가 글을 쓰는 이유에 베스의 존재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베스를 위해'라는 제목의 글을 쓸 정도로. 원작을 쓴 작가 루이자 메이 올컷의 자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소설 『작은 아씨들』은 자매를 중심으로 가족들의 평범한 일상을 연대기처럼 묘사한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메그와 조 두 언니가 자기만 쏙 빼놓고 재밌는 연극을 보러 가는 게 심술이 났던 막내 에이미는 조가 아끼는 원고를 서랍에서 찾아내 불에 태워버린다. 이 일로 조와 에이미는 크게 다투지만, 다음날 조가 이웃 청년 로리와 함께 스케이트를 타러 가는 길에 에이미가 따라나섰다 빙판이 녹아 물에 빠지는 일을 계기로 화해하게 된다.
(...)
https://brunch.co.kr/@cosmos-j/1671
지금 시시해 보이는 시절이 결국 내 고유한 서사가 된다
영화 '작은 아씨들'(2019)을 다시 보며 | 거의 일주일에 가까운 설 명절 연휴를 포근하게 보낸 직후 찾아온 입춘 한파 속에서 영화 한 편을 고르고 노트북을 펼친다. 3년 전 이 지면 3월호에서 영화
brunch.co.kr
728x90
반응형
'극장 밖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끝, 새로운 시작' GV 준비 메모 일부 (0) | 2025.03.30 |
---|---|
보람과 인정 없이도, 해야 해서 함께하는 일: 넷플릭스 시리즈 '중증외상센터'(2025) 리뷰 (0) | 2025.02.25 |
넷플릭스 시리즈 '아수라처럼'(2025) (1) | 2025.02.03 |
영화 '바튼 아카데미'(2023) (0) | 2025.01.21 |
영화 '하얼빈'(2024)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