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넷플릭스

넷플릭스 영화 '돈 룩 업'(2021) 작중 '민디'(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케이트'(제니퍼 로렌스)의 대화 중 인용되는 말처럼 "잃는 것도 있어야 얻는 것도 있다지만 우리가 잃는 것은 시간뿐이기를"(The Mills Brothers, 'Till Then') 바라지만 우리가 잃는 것은 시간만은 아니어서 어떤 판단과 결정은 삶과 터전 자체를 앗아가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 일상에서 진정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를 되새기게 하는 마지막 장면과 달리 (2021)은 그것들이 지켜질 수 있다고 낙관할 생각이 없다. 인류의 행복이 공동의 선의와 노력, 희생으로 지켜질 수 있다고 믿는 영화와 믿지 않는 영화로 나눌 수 있다면 은 당연히 전자인데, 그 소재와 배경만 다를 뿐 애덤 맥케이 감독 영화는 항상 이런 식이었다. ⠀ 정치, 경제, 언론 등 현대 사회의.. 더보기
넷플릭스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2022) https://brunch.co.kr/@cosmos-j/1380 일상의 학교가 지옥보다 끔찍한 곳이 된다면 넷플릭스 시리즈 '지금 우리 학교는'(2022) 리뷰 | 역사적으로 '좀비'는 항상 폭력이나 전염병 등 사회문화적 화두와 그 흐름을 같이 했다. 국내 미디어에서 흥행성을 인정받기도 전인 2009년부터 brunch.co.kr 역사적으로 '좀비'는 항상 폭력이나 전염병 등 사회문화적 화두와 그 흐름을 같이 했다. 국내 미디어에서 흥행성을 인정받기도 전인 2009년부터 연재된 원작에 작중 인물들이 좀비에 대해 전혀 생소하지는 않다는 설정((2016) 등)이 추가됐다. (제작 논의는 이미 7년 전부터 시작됐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 학교는](2022)에게서 짐작할 수 있는 것은, 각종 도구와 맨몸으로 좀.. 더보기
넷플릭스, 고요의 바다, 콘텐츠, 창작자, 기획 지금이야 여러 이유로 다 철수했지만 (2016, 폭스)이나 (2016, 워너)처럼 할리우드 직배사의 한국영화 제작, 투자, 배급이 활발했던 시기가 있었다. 부분적으로 투자했던 건 (2009, 유니버설), (2010, 폭스) 같은 경우가 있고 본격적으로 로컬 프로덕션이 생겨난 건 (2013, 폭스), (2014, 폭스)부터였다. 이 흐름은 워너브러더스가 배급한 (2020)가 마지막이다. ⠀ 당시의 흐름은 콘텐츠 기획과 제작의 다양성 면에서 긍정적이라 생각했는데, 최근에는 이것을 넷플릭스가 하고 있다. 그러니까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을 기획들. 온전히 창작자에게 자유를 보장해주는 것은 많은 경우 콘텐츠의 다양성과 질적 완성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 근래의 예를 들자면 (2021) 같은 작품이 계속해서 만.. 더보기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2021) 1화(‘무궁화 꽃이 피던 날’)부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참가자를 대거 탈락시키고, 어떤 이유로 인해 게임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는 과정을 보면 소위 ‘데스 게임’이라는 장르 자체에는 중대한 관심을 두고 있지는 않은 것처럼 보이는 면이 있다. 그러니까 [오징어 게임](2021)은 참가자들에게 지급되는 삶은 계란과 사이다, 혹은 양은 도시락이나 구슬치기처럼, ‘기훈’(이정재) 세대와 그 전후 세대가 가지고 있을 법한 향수를 자아내는 데 주력하면서 막다른 곳에 내몰린 이들이 가지고 있는 사연과 변화에 시선을 둔다. 후반으로 갈수록 게임 자체의 오락성에만 골몰하지 않고 드라마적 요소에 공을 들이는데, 결국 이 분야의 작품이 주는 긴장감이나 오락성도 상당 부분은 캐릭터를 얼마나 잘 만들었는가 하는 데에서 나오니 그.. 더보기
넷플릭스 '킹덤: 아신전'(2021) 내 경우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시리즈에 일찍이 [하우스 오브 카드](2013-2018) 때부터 줄곧 (대부분) 호의적이었다는 걸 감안하더라도, [킹덤: 아신전](2021)은 좀비 장르의 서사가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한 좋은 예로 보인다. 첫 번째 시즌(2019)에서 '역병'과 '배고픔'으로 시작된 이 이야기의 테마는 '아신'(김시아/전지현)의 서사를 통해 비통하고도 잔혹한 복수극으로 확장된다. 하나의 시즌이 아니라 에피소드 하나로 보여줄 수 있는 이야기의 폭과 깊이에는 분명 한계가 있음에도, 이 92분의 이야기는 세 번째 시즌을 기다릴 만한 가치가 있다는 걸 능히 입증한다. https://www.netflix.com/kr/title/81312457 킹덤: 아신전 | 넷플릭스 공식 사이트 비극과 배.. 더보기
몸이 기억하는 감각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내 몸이 사라졌다'(2019) 물론 어떻게 만들어내는가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어떤 이야기는 그것이 애니메이션이라는 형식을 택할 때에만 진가를 발휘하는 건 물론 관객들에게도 호응을 얻기도 한다. (2019)을 생각해볼까. 전 세계 극장 수익만 16억 달러를 넘게 거두었고 이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시각효과상 후보로도 올랐지만, 정작 작품에 대해 평단은 물론 관객들의 반응도 그리 좋지만은 않았다. (2010)부터 시작된 디즈니의 자사 애니메이션 실사화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역시 1994년작 애니메이션을 실사로 훌륭하게 옮겨오기는 했지만 비주얼 측면에서 보이는 사실적인 면이 오히려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이질감으로 다가왔다. 갖가지 표정을 갖고 ‘사람처럼’ 말하고 행동하는 애니메이션 속 동물들의 모습이, 뚜렷한 표.. 더보기
넷플릭스 영화 '펭귄 블룸'(2020) 리뷰 - 나오미 왓츠 주연 (...) "당신 괜찮아?"라는 물음에 "다시는 그런 질문 하지 마"라고 간신히 답할 수밖에 없었던 이가 있다. 행복했던 순간 예고 없이 찾아온 사고. 바로 그 날 이후 그의 삶은 달라진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무너져 내렸다. 자신이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고, 이제는 돌아갈 수도 없고 더 나아질 리도 없다고 체념했을 때. 살아 있다는 것이 짐이라고 여기게 되었던 때. 계절이 바뀌듯 꽃이 필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이것은 그런 이야기다. 넷플릭스 영화 (2020)은 작중 '샘 블룸'(나오미 왓츠)의 남편이자 사진작가인 '캐머런 블룸'이 (작가 브래들리 트레버 그리브와 공저한) 집필한 동명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원작자인 샘과 캐머런 부부가 제작자(executive producers)로도 .. 더보기
유튜브 팝콘각 - 영화 '승리호' 편 오늘은 2092년으로 갑니다. 영화 승리호입니다. 뭐 이렇게 멀리 가? 2100년도 아니고, 어정쩡하게 2092년은 뭐야 그나저나 2092년에 뭐할 것 같으세요? 일흔한 살만 더 드시면 됩니다. 살아있을까... 그때 되면 뭐 우주 여행은 다들 가겠지. 그러니까요. 요즘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를 한창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스페이스 하니까 오늘 TMI는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장르에 관해서입니다. 우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어떤 전쟁, 모험담, 이런 것들을 주로 담고 있는데, 우주 하니까 우리나라에서 흥행한 대표적인 경우 중에 천만 영화 같은 작품이 있지 않습니까. 헌데 우주 영화라고 해서 국내에서 다 흥행하는 것은 아닌 게 방금 말씀드린 나 아니면 같은 종류, 그러니까 깊은 감정선의 드라마가 대두되거나 .. 더보기
승리호 - 한 사람의 힘만으로 세상을 구할 수는 없어서 "순이는 지금도 깜깜한 우주에서 아빠를 기다리고 있을 테니까." 오락 영화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쉽고 명확히 전하고, 적당한 유머와 감정 안에서 세계에 속한 이들의 고단한 얼굴들을 주목하는 영화. 그럭저럭 만족스러웠다. 어떤 작품을 볼 때 그것이 구현하는 세계가 입체적이거나 현실적이거나 정교할 수 있는 건 제작비나 겉으로 보이는 세계의 규모만으로 판가름되지는 않는다. 세계관의 깊이를 알게 하는 건 전적으로 이야기의 흐름과 맥락, 그리고 캐릭터다. 그 캐릭터들이 저 세계에 산다는 것이 얼마나 납득할 수 있는 일이며 그들이 어떤 행동에 나서는 일이 얼마나 마땅한 일인지. 다양한 언어들이 여전히 공존하는 (2020)의 세계를 보면서 (2012)나 (2013) 같은 작품들을 어렵지 않게.. 더보기
영화 평점에 관한 댓글 3 (2021.02.07.) 제가 그리 대단한 식견을 갖고 있는 것도 아니고 누굴 설득하거나 할 이유도 없으니 아마도 저도 이것 이후로는 다른 코멘트를 더 쓰지 않겠습니다만, 제가 "일반인"이 아니어서 저 댓글을 쓴 분들의 생각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처럼 말씀하셨는데요. 어쩌다 보니 영화 업계에 얼마간 종사했었기에 평점이 좋다고 해서 영화사에서 좋게 써달라고 돈을 준 것이 아니라는 것의 제가 생각하는 한에서의 근거를 말씀드렸을 뿐입니다. 씨네21 지면과 매체를 읽는 한 사람으로서 매체와 매체 종사자를 함부로 판단하는 것에 대해 반론을 제기한 것에 불과하고요. 지금은 엄밀하게 영화 업계에 종사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보고 읽고 쓰는 것 좀 좋아하는 사람일 따름이니 "전문가"라 할 입장도 못 되고요. 그리고, 저라면 제 생각과 달라서.. 더보기

728x90
반응형